지난 10월19일 Boston University의 전 입학사정관이었던 마크 코커리(Mark Corkery)가 뉴욕에서 열렸던 세미나에서 시작한 말이다.
수 많은 학생을 인터뷰 해본 결과 입학하기 전 대학을 철저하게 연구한 후 들어온 학생들의 대학 적응과 성공률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매우 높았다고 한다. 이는 결국 자신과 궁합이 잘 맞는 대학을 선택한 결과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코커리 전 입학사정관은 “고교 4년 과정은 나와 맞는 대학을 찾는 탐색 기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여기엔 아카데믹한 면과 학교 캠퍼스 분위기, 교수진, 전공 과목의 강약 등 여러 가지가 포함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명문대학에 입학하여서 아무리 좋은 성적을 받았다고 해도 학생 스스로 행복하지 않으면 학교 생활은 실패한 것”이라며 “대학에 들어가기 앞서 어느 대학에 진학할 것인지, 무슨 과목을 전공으로 택할 것인지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그리고 “대학 신입생 가운데 10~20%는 다른 대학으로 편입을 고려한다”며 “무조건 입학하고 보자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다”고 말했다.
한편 마크 코커리 전 입학사정관은 대학 진학시 학부모와 학생들의 대입과 관련된 편견을 지적했는데 그가 밝힌 대학 입학 사정의 잘못된 진실 10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0 Truths of College Admissions (대학 입학 사정의 진실 10가지)
1. Colleges Don't Look at Senior or Freshman Year Grades (9학년과 12학년 성적은 상관없다) - ‘NO’
Senior grades first semester count for most all colleges and universities excep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reshman grades are looked at and are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the high school career; math and language courses and grades taken in 7, 8, 9th grades count.
2. Only Rich People Can Afford a Private University (부자들만이 사립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 - ‘NO’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되는 장학금 종류는 ‘Need-based’ ‘Third-party’ ‘Sport-Based’ 장학금 등이 있다. 많은 학생들이 이러한 사립대학 학비 보조금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Need-Based, Third-Party, Merit-Based, Sports-Based scholarship are available. Knowing where to look is the problem to getting them. Many students attend private not public schools because they are cheaper as a result of this type of aid.
3. An Ivy League Education Gives You the Best Education (아이비리그만이 최상의 교육을 제공한다) - ‘NO’.
아이비리그, 명문대학만을 선호할 것이 아니라 대학과 내가 잘 맞는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명문대학에 진학하고도 졸업을 하지 못한다면 이는 시간만 낭비하는 것이다. 음식도 궁합이 맞아야 몸 구석구석에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해줄 수 있듯 대학도 나와 궁합이 잘 맞아야 성공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Harvard Shmarvard! Where you attend undergraduate for college or university is not the key to success, what you get from the education is. The best education comes from the schools that match your educational and social needs.
4. College Look for Well Rounded Students (대학은 전 과목이 우수한 학생을 원한다) - ‘NO’ 명문대학은 모든 과목을 다 잘하는 학생을 원치 않는다.
명문대학은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우선적으로 보지만 이에 못지 않게 다방면에 걸쳐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이들을 찾는다. 이 때문에 명문대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은 학교 공부 이외에 몇 가지 특별활동, 자원봉사활동에 시간을 반드시 내야만 한다.
그러나 수십여가지 프로그램에 일일히 다 참여하라는 것이 아니다. 2~3가지를 하더라도 깊이 있게, 그리고 폭넓게 하라는 것. 따라서 학교 밖에서 활동을 할때는 오랫동안 꾸준히, 깊이 있게 할 것을 권한다. 입학사정관들은 이 점을 특히 주의깊에 본다.
Colleges now look more for students who excel in one or two things and Do not look favorably about doing a variety of things. Specialization, consistency of effort, long term involvement is all more important than spreading you too thin. It is best to do a lot of a little than a little of a lot.
5. Getting In i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Planning for College (명문대학에 무조건 입학하고 봐야 한다) - ‘NO’
따라서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대학을 선택,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할 것을 권한다. 아무리 대학의 명성이 높다해도, 학생이 성적을 잘받았다고 해도, 학생 스스로 행복하지 않다면 학교 생활은 실패한 것이나 다름없다.
Getting in is not the goal; getting out is the goal! College matching not just the reputation of the school counts most. Not all students can adapt to a learning environment in the same ways. Reputation means nothing if the student cannot get good grades and be happy.
스포츠 특기생으로 지원하면 대학 입학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대학 입학 사정관들은 스포츠 이외 학업성적도 보기 때문에 운동실력과 학업성적간 어느정도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학교에서 낙제를 면할 정도의 실력은 좀 곤란하다. 스포츠 특기생으로 지원하려면 코치와 잘지내는 것도 필수.
Applying as an athlete can help sail an applicant into college but playing a sport requires commitment; academics are often overlooked.
7. Valedictorians are Always Victorious (고교 때 우수한 학생이 대학서도 성공한다) - ‘NO’
Being at the very top of your senior class does not guarantee admission to the very top colleges. Community service, leadership, activities count even more at the level of colleges for which these students can compete.
대학 입학 신입생들의 90%는 한 두번 전공을 바꾼다는 통계가 나와 있다. 만일 내가 대학가서 무엇을 해야할지 선택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다면 대학에 들어가기전 커뮤니티 대학에서 단기간 공부를 해보는 것도 바람직 하다. 그러나 커뮤니티 대학이 궁극적인 목적이 될 필요는 없다.
Community college is a great option. However,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of college at either four or two year colleges really are unsure and unclear about the major choice or career choice. 90% of all freshman change their major at 1
9. You Need High Test Scores to Get Into a Top College (시험 점수가 높아야 유명대학에 입학할 수 있다) - ‘NO’
There are 70+ colleges in the United States that do not require the SAT, SAT2 or ACT scores at all! Test scores are taken in combination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application. It is better to have higher grades than test scores to get into college today.
10. What You Major In Will Determine Your Success in Life (대학 전공 선택이 인생의 성패를 좌우한다) - ‘NO’
Major choice is not necessarily career choice. We are changing careers on average 4 times in a lifespan and jobs 7 times in a lifespan. The most popular major is psychology in the United States. Art majors can go to medical school and become doctors.
'Student Portfolio > college consul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 가는 길] 대학에서도 잘 해낼 학생을 찾기 위해서 (0) | 2008.11.07 |
---|---|
[입학사정관의 말] 완벽한 조건으로도 '불합격' 이유있다 (0) | 2008.11.07 |
B(3.0)학점 학생들을 위한 A급대학들 (A+ Schools for B Students) (0) | 2008.11.07 |
[입학 사정관의 말] 11학년의 계획성도 심사대상이다 (0) | 2008.11.07 |
[입학 사정관의 말] 타주 사립대를 노려라 (0) | 2008.11.07 |
[미대 진학 2] 미대 입학결정 '포트폴리오'가 한다 (0) | 2008.11.06 |
[미대 진학 1] 미술대학 진학 준비 요령 (0) | 2008.11.06 |
[10학년 성적으로 본 대입전략] GPA 3.4로는 상위권 어렵다 (0) | 2008.11.06 |
하버드 입학심사 기준 (0) | 2008.10.28 |
[입학사정관의 말] UC보다 사립대 진학이 때론 쉽다 (0) | 2008.10.28 |
[교육 세미나] 명문대학 입학 사정의 허와실 (0) | 2008.10.26 |
댓글을 달아 주세요